본문 바로가기
일반 상식 및 재테크 정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어떤 게 유리할까요? 개념정리까지 한방에 해결

by 메이플컴퍼니 2024. 12. 26.
반응형

연말정산할 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빼고 얘기할 수 없습니다.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연말정산할 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 개념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뜻

 

▶ 소득공제

  • 말 그대로 소득을 깎아준다는 뜻입니다.
  • 소득에는 월급, 상여금, 이자/배당 등 경제활동을 통해 받은 모든 돈이 포함됩니다.
  •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경비(소득공제 항목)를 위 소득에서 빼줘서 세금이 낮게 매겨지도록 해주는 게 소득 공제입니다.
  • 위에서 말한 주요 소득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공제(본인, 배우자, 부양가족에 대해 1인당 150만원 공제)
    • 연금보험료 공제 -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납입액 전액 공제
    • 주택 관련 공제
    •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공제 등  

1년 총 소득이 5,000만원이고, 소득공제액 합이 1,000만원이라면, 세금의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액은 4,000만원입니다.

즉, 1년 소득을 5천만원이 아니고 4천만원으로 보고, 세금 계산을 해준다는 뜻입니다.

 

 

▶ 세액공제

  • 위에서 소득공제를 통해 소득을 줄였잖아요.
  • 그리고, 소득공제를 통해 줄어든 소득(과세표준액)에 따라 세금이 매겨집니다.
  • 이렇게 해서 나온 세금에서  일부를 깎아주는 것이 세액공제입니다.  
  • 세액공제해 주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금저축/IRP 납입금액
    • ISA에서 연금저축으로의 이전금액
    • 월세, 의료비, 교육비 등

세금이 4,920,000원이 나왔다고 하고, 연금저축 납입금액으로 인해 공제되는 세금이 100만 원이라고 가정하면, 실제 내야 하는 세금은 3,920,000원입니다.

 

※ 연말정산 순서도입니다. 

연말정산 순서도
연말정산 순서도

 

반응형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어떤 게 더 혜택이 클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 고소득자에게는 소득공제가 훨씬 유리합니다.
  • 세액공제는 세율이 정해진 뒤 추가로 세금을 깎아주는 거라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공평하게 세금 감면효과가 나타납니다.

소득공제 전후 세금 비교
소득공제 전후 세금 비교

 

※ 고소득자일수록, 세금절감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 연봉이 1억인 소득자는 6,120,000원의 세금절감효과가 생깁니다.
  • 연봉인 5천만원 소득자는 3,000,000원의 세금절감효과가 생깁니다.
  • 소득공제액은 똑같이 2천만원이지만, 고소득자가 3,120,000원만큼 더 세금 절감효과가 있습니다.

 

연금저축/IRP관련 세액공제는 얼마나 받을까요?

 

▶ 개인연금저축  : 최대 6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 퇴직연금(IRP) :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 그러나, 개인연금저축과 퇴직연금(IRP) 합쳐서 최대 900만원까지만 세액 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개인연금저축 불입액         0원 900만원
(600만원)
700만원
(600만원)
900만원
(600만원)
900만원
(600만원)
900만원
(500만원)
900만원
퇴직연금 불입액 900만원
(900만원)
       0원 100만원
(100만원)
100만원
(100만원)
300만원
(300만원)
400만원
(400만원)
900만원
(900만원)
세액공제 금액 900만원 600만원 700만원 700만원 900만원 900만원 900만원

 

 

▶ 세액공제는 얼마까지 될까요?

총 급여액 세액 공제율 최대 세액공제 금액(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는다고 가정)
5,500만원 이하 16.5% 900만원 * 16.5% = 148만 5천원
5,500만원 초과 13.2% 900만원 * 13.2% = 118만 8천원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