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채권관련정보

① 채권투자방법에 대해 기초부터 설명해드릴께요 .

by 메이플컴퍼니 2022. 8. 3.
반응형

채권이란?

  • 국가, 기업등이 거액의 자금을 조달하기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 국가, 기업등이 차용증서를 써주고, 투자자들에게 돈을 빌리는것입니다.(채권=차용증서)
  • 대출처럼, 채권은 만기와 이자 지급개념이 있습니다. (1년만기, 년이자 3% 등)
  • 채권은 주식과 달리 수익의 발생여부와 상관없이 이자를 무조건 지급해야 합니다.  

채권발행 및 자금조달 프로세스
채권발행 및 자금조달 프로세스

 

채권에 표시되는 주요내용

  • 만기일 :  빌린돈을 갚는 날짜를 말합니다.
  • 표면금리 :  이자를 말합니다. (1만원당 이자가 년1000원이라면, 표면이율은 10%라고 표시)
  • 이자지급주기 :  1개월단위, 3개월단위, 6개월단위 등이 있습니다. 3개월단위가 가장 많다고 합니다. 
  • 기업의 신용등급 : 기업의 신용도를 말합니다. 신용도가 높을수록 표면금리은 낮은게 정상입니다. 

채권에 표시되는 주요항목
채권에 표시되는 주요항목

▶ 기업신용등급 및 평가기준

AAA  최고수준의 신용상태,  채무불이행 위험 거의 없음
AA 매우 우수한 신용상태, 채무불이행 위험 매우 낮음
A 우수한 신용상태, 채무불이행 위험 낮음
BBB 보통수준의 신용상태, 채무불이행 위험 낮지만 변동성 내재
BB 투자하면 안됨.
B 투자하면 안됨.
CCC 투자하면 안됨.
CC 투자하면 안됨.
C 투자하면 안됨.
D 투자하면 안됨.

※ AA부터 B까지는 동일등급내에서 우열을 나타내기위해 "+" 또는 "-"의 기호를 부가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등급안에서도 A+, A, A- 로 세분화가 가능합니다.)

 

 

채권발행회사가 파산을 한다면?

  • 신용등급 BB이하로는 고위험채권에 속하므로, 초보자들은 쳐다도 보지 말아야 합니다.
  • 회사채는 대부분 무보증사채입니다. 발행회사가 파산하면, 투자금은 거의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그러니까,  표면이율은 낮지만, 신용등급이 높은 채권을 매수하는것이 좋습니다.

 

채권매수방법(장내채권 VS 장외채권)

 

장내채권 : 한국거래소 채권시장에 상장이 되어있는 채권을 의미합니다.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하고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 증권사 HTS에서 매수하시면 됩니다.  주식과 마찬가지로 실시간으로 매수/매도 가능합니다.

장내채권 매수/매도화면
장내채권 매수/매도화면

  • 현재 9,830원에 매수할경우, 매수수익률은 4.639%입니다.
  • 최초발행시 표면이율인 3,498%을 받고 채권을 매수한 투자자가 있다면, 억울하겠죠?
  • 이렇게 채권투자수익률은 금리영향을 받아 수시로 변동됩니다.
  •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내리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가격은 오릅니다.

 

장외채권  : 증권사 각자가 판매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증권사마다 판매하는 채권이 다르다는 얘기입니다.

장외채권 검색및 매수/매도화면
장외채권 검색및 매수/매도화면

  • 롯데하이마트7은 채권이름입니다. 신용등급은 AA-로 저위험이며, 매수금리는 3.5%입니다.
  • 예금환산수익률은 매수금리보다 높은데, 이유는 이 채권은 3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하기때문입니다.
  • 예금은 만기때 이자를 한번에 받지만, 채권은 3개월마다 이자를 받기때문에, 예금환산수익률이 더 높게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 장외채권은 한번 매수하면, 만기전에 매도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아주 싸게 팔면 가능합니다.
  • 위에 설명한것처럼, 장내채권은 HTS상에서 실시간으로 매수/매도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장내채권도 매도호가와 매수호가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따라서, 채권을 매수할때는 만기까지 가도 좋다는 여유자금을 가지고 투자하는것이 좋습니다.  

다음시간에는 HTS상에서 어떻게 매수할 채권을 검색해서 매수/매도를 하는지 실제사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글)   ② 채권투자방법(장내채권/장외채권) - (실제사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