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과 채소를 먹을 때 잔류농약이 걱정되곤 합니다.
농약뿐만 아니라, 수확을 전후해 보존제나 살균제 등을 뿌리거나, 심지어는 신선도 유지를 위해 코팅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안심하고 섭취하기 위해 올바른 세척법을 여기서 소개하고자 합니다.(제공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일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담금 세척법"입니다.
이것만으로도 거의 반 이상의 잔류농약이 제거됩니다. 식초, 베이킹파우더, 소금 등을 탄 물에 과일과 채소를 씻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식약처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잔류농약의 제거율에는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저는 식약처인증을 받았다는 바우젠 전해수기를 이용하여 과일 세척을 하고 있는데, 그냥 맹물로 씻는 거와 별 차이가 없다고 하니 혼란스럽네요. 어차피 산거 사용해야지 어쩌겠어요.ㅋㅋ
지금부터는 과일 채소별 세척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포도
포도알 사이사이까지 깨끗이 씻기 힘들기 때문에 알알이 떼어내서 씻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포도 송이채 물에 담궜다가 흐르는 물에 잘 헹궈서 먹으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밀가루나 베이킹 소다를 뿌려 씻으면 농약을 잘 흡착해서 더 깨끗해진다는 주장도 있으나. 실험 결과 별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 사과
흐르는 물에 잘 씻어서 껍질째 먹으면 됩니다. 단 꼭지 근처 푹 들어간 부분에는 농약이 많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껍질째 먹을 때는 이 부분을 버리고 먹는 게 좋습니다.
■ 딸기
잘 무르기 때문에 손으로 비벼 씻기가 곤란합니다. 표면적이 넓어 농약이 대량으로 묻어 있기때문에 다른 야채보다 더 많이 흐르는 물에 씻어야 합니다. 또한, 꼭지 부분은 농약이 상대적으로 많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먹지 않고 버리는 게 좋습니다.
■ 바나나
수확후 대부분 살균제나 보존제 등을 뿌려 보관합니다. 그러나 껍질이 두껍기 때문에 농약이나 보존제 등이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 세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껍질을 까서 드시면 됩니다.
■ 오렌지
신선도 유지를 위해 왁스등으로 코팅을 하지만, 인체에 무해하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식용왁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염려할 필요 없으며, 어차피 껍질을 까서 먹으므로 왁스제거를 위해 물에 씻을 필요도 없습니다.
■ 고추
고추는 뿌려진 농약이 흘려내리다가 뽀족한 끝부분에 맺혀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끝 부분을 잘라내 버리고 먹으면 됩니다. 또한 끝부분도 다른 부분보다 월등하게 많은 것도 아니니, 깨끗하게 세척 후 드셔도 됩니다.
■ 깻잎
잔털사이에 농약이 많이 묻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흐르는 물에 씻는 것 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물에 5~10분 정도 담궜다가 30초 정도 흐르는 물에 문질러 씻으면 약 70% 정도의 잔류농약이 제거됩니다. 다른 야채보다 더 많이 비비고, 꼼꼼히 세척해야 하는 채소입니다.
■ 양배추
양배추는 겉잎에 농약이 많이 묻어있기때문에, 겉잎을 2~3장 정도 떼어내고 흐르는 물에 씻어 먹으면 됩니다.
■ 파
대부분의 사람이 뿌리쪽에 농약이 많다며, 뿌리 쪽을 떼어내는데, 이건 사실과 다릅니다. 실제로는 뿌리보다 잎에 농약이 더 많이 잔류합니다. 때문에 잘 씻은 뒤 시든 잎은 떼어내 버리는 게 좋습니다.
과일/채소별로 세척방법이 다 다릅니다. 숙지하시어 실생활에서 사용하시면 어떨까요?
오늘도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반 상식 및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연납, 내년(2024년)부터는 하지 마세요 (0) | 2023.01.27 |
---|---|
겨울철 및 여름철 실내 적정 습도 유지 및 관리 방법 (1) | 2023.01.26 |
체코여행(유럽여행)시 다양한 환전방법 소개합니다. (0) | 2023.01.17 |
개인종합자산관리 계좌(ISA)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0) | 2023.01.12 |
이사후에는 반드시 주소변경서비스를 신청하자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