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9월20일 현재 엔화가치
※ 달러와 엔화의 환율 추이 (과거 10년 차트)
- 달러대비 엔화가치 24년만에 최저수준 하락
※ 원화와 엔화의 환율 추이 (과거 10년 차트)
- 원화대비 엔화가치 계속 하락 중(최저수준은 아닙니다.)
엔화가치가 왜 떨어질까?
-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4조 달러를 밑돌아 1990년대 버블경제 붕괴 직후로 되돌아 감.(30년만)
- 일본 산업 경쟁력 약화도 원인.
- 1988년 세계 시가총액 상위 100위 기업 중 53개가 일본기업이었습니다.
- 2022년 현재 일본 기업 중 도요타 하나만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미국과의 금리차이로 인한 엔 캐리 트레이드 증가
★ 엔 캐리 트레이드 ★
제로금리(실질금리가 0%에 육박하는 금리)의 엔화를 빌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엔화 이외의 통화(예금)와 차익거래가 가능한 모든 수익자산(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낮은 금리로 돈(엔화)을 빌려 그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상품에 투자하여 차익을 얻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가 확대될때에는 엔화를 팔고 달러 등의 다른 자산을 매입해야 하므로 엔화가치를 절하시킵니다.
지금이 투자적기인가?
**** 아무도 모른다 ****
A 전문가 지금은 24년만에 최저수준입니다. 더이상 빠지기 힘듭니다. 그래서 지금이 투자적기입니다.
저의 의견 당신이나 투자하세요. 그러다 더 빠지면 뭐라고 얘기할 지 궁금합니다.
B 전문가 지금은 24년만에 최저수준입니다만. 일본경제가 최악으로 가고 있으니, 지금은 투자적기가 아닙니다.
저의 의견 당신이나 투자하지 마세요. 그러다 더 오르면 뭐라고 얘기할 지 궁금합니다.
▶ 전문가의 예측 믿지 마세요. 모든 전문가가 똑같은 예측을 하면 모를까, 50대 50으로 서로 다른 주장을 하는걸 많이 보실거예요. 이게 무슨 전문가인가요?
▶ 자기 예측이 틀리면, 꼭 핑곗거리를 만듭니다. (증권방송에 나온 분들 대부분이 그래요)
(어떤 전문가의 말)
투자하라고 권유했는데, 그 주식이 떨어지면 욕을 먹죠. 반대로, 투자하지 말라고 권유했는데, 주식이 오르면 그나마 욕은 덜 먹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자기는 웬만하면 비관론자 행색을 한다고 TV에서 얘기하는걸 들었습니다. 똥인지 된장인지....
나만의 투자 방법
저는 예측하지 않아요.
일단, 엔화가치가 24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진것은 데이터로 증명이 된거니까 이건 확실한 팩트입니다.
따라서 투자 적기는 모르겠고, 투자 기회는 오는 것 같긴 합니다.
이럴 때, 저의 투자방식은 분할매수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너무 쉽나?)
정액분할매수 방식
- 월별/분기별 똑같은 금액을 투자한다.(주기는 본인이 선택하면 됩니다.)
증액분할매수 방식
- 처음에는 100만원, 두번째는 200만원, 세번째는 400만원식으로 투자한다.
하락시 분할매수 방식
- 5% 또는 10% 하락할때마다 추가 매수하는 방식이다.
저는 증액분할매수방식을 즐겨 사용합니다.(이 방식으로 해서 실패한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도, 큰 손실은 피해갈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투자해야 하나요?
① 은행을 통해 엔화로 환전(가장 단순한 방법)
- 직접 은행을 찾을 필요없이 은행 모바일앱을 이용하면 환전이 쉽다.
② 증권사을 통해 엔화로 환전
- 은행 환전수수료보다 저렴하다. 환차익을 목적으로 한다면, 증권사 환전이 가장 유리하다. 그러나 증권사를 통해 환전한 엔화는 다시 원화로 바꿔야지만 출금할 수 있다.
③ 외화예금이나 정기예금 이용
- 은행사마다 판매하는 외화 보통예금이나 정기예금을 이용하면 손쉽게 엔화를 사들일 수 있다.
- 외화통장을 통해 얻은 환차익은 과세대상이 아니다.
- 이자수익에 대해서만 15.4%의 소득세를 낸다.
④ 엔화 ETF 투자
- ETF명 : TIGER 일본엔 선물 ETF
- 해당 ETF는 올해 5월 시가총액 86억원에서 현재 152억원까지 치솟았다. 일 거래량도 지난해 9월에는 평균 2000주였으나, 이달 들어 5만주 이상으로 늘었다.
다시 말하지만, 투자판단은 본인이 해야 합니다. TV나 유튜브에 나오는 전문가라고 사기치는 분(놈)들 절대 믿지 마세요.
피터린치가 한 말이 생각납니다. 저렇게 예측을 잘하면 직접 투자해서 돈 벌면 되지, 왜 힘들게 TV에 나와 떠들어 댈까요?
이유는 저들도 자신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일반 상식 및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중산층 절반이 "나는 하위층"이라고 생각한다. (0) | 2022.09.23 |
---|---|
청년희망적금(문재인) VS 청년도약계좌(윤석열) 비교 (0) | 2022.09.22 |
배당소득세 총정리(국내주식, 해외주식) (0) | 2022.09.16 |
실업급여 수급자 지급 요건 강화 - 구직활동 꼭 해야 합니다. (0) | 2022.09.04 |
트래블로그 체크카드(하나카드) VS 트래블페이 체크카드(트래블월렛) 비교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