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협력기구(OECD)가 정의한 중산층의 조건
■ 경제협력기구(OECD)가 정의한 중산층은
- 중위소득 75 ~ 200% 사이 소득 계층
※ 2022년 4인기준 한국의 중위소득은 월 512만원입니다. 따라서, 중산층에 해당하는 소득범위는 월385만원 ~ 1천20만원입니다.
385만원(512만원 * 75%) < 중산층 소득 범위 < 1천20만원(512만원 * 200%)
여러분은 이 범위에 드시나요? 폭이 너무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 중산층 절반이 나는 하위층이라고 생각한다.
- 중산층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5.6%가 자신은 하위층이라고 답했다.
- 특히, 30대, 미혼, 1인가구 중산층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낮았다
- 중산층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 왜냐하면, 한국의 중산층들은 4인가구 기준 월 소득이 최소 686만원은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생각했다.
- 경제협력기구(OECD)의 중산층 범위 → 385만원 < 중산층범위 < 1020만원
-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중산층 범위 → 686만원 < 중산층범위 < 1020만원
괴리가 심하죠?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조건
※ 4인 가구 중산층의 절반이 인식하는 중산층의 조건
- 소득 : 월 686만원 이상
- 소비 : 월 427만원 이상
- 순자산 : 9억 4천만원 이상
- 부동산 : 8억 4천만원(수도권 중형 APT)
너무 높게 중산층의 기준을 잡는것 같다.
실제로는 다음이 중산층의 조건이다.
- 소득 : 월385만원 이상
- 소비 : 월213만원 이상
- 순자산 : 5억 6천만원 이상
- 부동산 : 3억 9천만원 이상
제 의견은 OECD가 제시한 중산층의 조건은 10년전 얘기인거 같습니다.
저도 한국사람인지라 월소득이 686만원 정도는 돼야 중산층이라고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요?
요즘 물가보면 저 소득도 생활하는데 빠듯 할 거 같습니다.
순자산 700억 넘는 "슈퍼리치", 한국에서 11번째로 많다.
- 다음은 순자산이 700억(5,000만달러)가 넘는 초 고액 자산가가 많은 나라순입니다.
- 미국, 중국, 독일, 캐나다, 인도, 일본, 프랑스, 호주, 영국, 이탈리아에 이어 한국이 초 고액 자산가가 많은 11번째 나라입니다.
- 한국성인 가운데, 100만달러(약 14억원)가 넘는 자산을 보유한 "백만장자"는 129만명으로 나타났다.
왜 이렇게 많지? 내 주변에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는데.😭😭😭
※ 참고로, 2021년말에 순자산이 5000만 달러(700억)가 넘는 초고액자산가는 26만42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더 이상 포스팅 하기 싫다. 죄송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만.😭😭😭
반응형
'일반 상식 및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전5기 끝에 구글 애드센스 승인받았습니다. (0) | 2022.10.01 |
---|---|
보이스피싱 금융분야 대응방안 발표내용 요약(22년 9월) (0) | 2022.09.30 |
청년희망적금(문재인) VS 청년도약계좌(윤석열) 비교 (0) | 2022.09.22 |
엔화투자 - 일본 엔화 가치가 역대 최저수준으로 하락 중 (1) | 2022.09.20 |
배당소득세 총정리(국내주식, 해외주식) (0) | 2022.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