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상식 및 재테크 정보

청년희망적금(문재인) VS 청년도약계좌(윤석열) 비교

by 메이플컴퍼니 2022. 9. 22.
반응형

가입 대상

 

청년희망적금청년도약계좌가입대상이 같음.

  • 만 19세 ~ 34세 청년
  • 병역이행기간(최대6년)은 미포함

 

소득 조건

 

청년희망적금

  •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청년도약계좌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가구소득기준 중위 180%이하

♣ 2022년기준 중위소득

    - 2인가구 : 월소득 326만원

    - 4인가구 : 월소득 512만원

 

♣ 2022년기준 중위소득 180%이하란?

- 2인기준 월소득 586만8000원 이하(326만원*180%)

- 4인기준 월소득 921만6000원 이하(512만원*180%)

 

소득기준을 크게 완화한 청년도약계좌이  더 좋은거 같습니다. 그러나, 가구 소득 기준이 추가된것은 아쉽네요. 여기에 걸릴 청년이 있을까요?  있으면 이 상품에 신청하면 안되죠.😁😁

 

 

혜택 비교

 

청년희망적금

  • 납입한도 : 매월 50만원 한도내
  • 만기 : 2년
  • 혜택 : 이자 연 5%(은행별 우대금리 별도) + 2~4% 저축장려금(정부에서 지급)

 매달 50만원씩 2년간 납부했다고 가정하면,

  • 원금 1,200만원(50만원 * 24개월) 
  • 이자 62만 5000원
  • 저축장려금 36만원
  • 총 수령액 = 1298만 5000원

청년도약계좌

  • 납입한도 : 매월 40만원 ~ 70만원 한도내
  • 만기 : 5년
  • 혜택 : 이자(은행 5년만기금리+가산이자) + 최대 6% 별도기여금(정부에서 지급)
  • 기여금은 가입자소득과 납입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 매달 70만원씩 5년간 납부했다고 가정하면,

  • 원금 4200만원(70만원 * 60개월)
  • 이자 373만원(이자 연 3.5% 가정)
  • 별도기여금 252만원
  • 총 수령액 = 4,825만원

※ 어느게 나아보이나요?  저는 청년도약계좌가 나은거 같긴한데,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음기사를 한번 읽어보세요.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길어 최근 청년들의 생애주기나 금융 트렌드와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백 연구위원은 "청년층은 결혼, 주택마련 등 자금 소요 요인이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연령대"라며 "장기저축상품에 가입한 경험이 적은 청년들이 5년간 매월 40만∼70만원의 금액을 내기 어려울 수 있어 중도 해지·인출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언제 가입을 할 수 있나요?

 

청년희망적금

  • 2022년초에 1차 신청마감 완료
  • 2022년 하반기에 2차로 재출시예정 발표
  • 현재는 추가가입을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발표함(금융위원회) - 이게 뭐하자는 건지👿👿

청년도약계좌

  • 2023년 하반기 출시 예정(확정이 아닙니다.)
  • 믿을게 못되죠.  왜냐하면, 당초 정부가 10년간 최대 1억원을 보장하려던 계획에서 5년간 5000만원을 보장해주는 형태로 규모가 축소됐거든요.  
  • 또 어떻게 바뀔지 아무도 모르죠.

오늘은 청년희망저금과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비교분석해 봤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