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정보

구례 여행 코스 - 사성암을 구경한 후, 라플라타 카페에서 휴식을(제1탄).....

by 메이플컴퍼니 2022. 8. 22.
반응형

※  여행코스(사성암  ->  라플라타 카페)

여행코스(구례버스터미널-사성암-라플라타)
여행코스(구례버스터미널-사성암-라플라타)

 

 

구례 사성암(유리광전, 마애여래입상)

사성암 (四聖庵)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가 건립하였으며, 당대최고의 고승이라 불리는 원효대사, 도선국사, 진각국사, 의상대사 등  네 명이 수도를 해서 사성암이라 불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성암 암자들 모습사성암 암자들 모습
사성암 암자들 모습

 

고향이 남원이라 구례는 자주 왔었는데, 사성암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구례에는  화엄사, 천은사같은 유명한 절들이 많고 또 그쪽으로만 구경을 가기도 하죠.   이 사성암이라는 절이 있다는 걸 그동안 왜 몰랐을까. ( 통상적으로 큰 절은 사, 작은절은 암이란 이름을 붙인다고 합니다. 따라서, 화엄사는 큰 절,  사성암은 작은 절 이라고 구분하면 될 거 같습니다.) 

주차장 정보

사성암은 해발 530m인 오산의 꼭대기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가는 방법은 3가지입니다.

  1. 산 초입에 엄청 넓은 주차장이 있습니다.  여기에다 주차하고 마을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차비는 무료이고,  마을버스 이용요금은 편도 1,700원, 왕복 3,400원입니다. 대략 10분 소요)
  2. 산 초입에 주차하고, 등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편도 1시간30분정도 소요)
  3. 자차로 사성암까지 올라가는 방법입니다.  정상에 있는 사성암입구까지 갈수 있습니다.  단점은 10대정도만 주차공간이 있다는겁니다.  복걸복이죠.  주차할 자리가 없으면, 내려와서 주차하고 1번이나 2번 방법을 선택해야합니다. (주말에는 아예 올라가지 못하게 통제한다고합니다. 저는 운좋게 정상에 주차했답니다.)

암봉과 절벽을 이용해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지은 전각의 배치가 자연스럽고 특히 적벽에 세운 유리광전은 최고의 걸작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멋진 전각입니다. 사성암에서 바라보는 경치 또한 압권입니다.

사성암 유리광전(약사전) 모습
사성암 유리광전(약사전) 모습
사성암에서 바라본 구례읍네 모습
사성암에서 바라본 구례읍네 모습

사성암을 찾는 이유는 유리광전(약사전)을 보기위해서입니다.  3개의 기둥이 떠 받치고 있는 절벽에 세워진 법당입니다.  왜 절벽에 지었을까? 그 해답은 간단합니다. 법당의 뒤편으로 바위에 마애석불이 있는데 마애석불을 모시기 위해 마애석불의 높이에 맞춰 기둥을 세우고 법당을 앉힌 것입니다. 어찌되었건 법당의 모습은 신비롭고 멋지기 그지없습니다.  사성암의 명물인 소원바위, 배례석 등과 더불어 사성암을 찾는 발길이 끊이질 않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유리광전에 들어가면, 아래 사진과 같이 원효대사가 손톱으로 새겼다는 그 유명한 마애석불(마애여래입상)을 볼수 있습니다.

유리광전 안에 모신 마애여래입상
유리광전 안에 모신 마애여래입상

유리관 뒤로  마애석불이 보이시죠? 오래토록 보존하기 위해 설치한 거라고 하네요.  

마애여래입상 안내문
마애여래입상 안내문

 

사성암은 유리광전(약사전)을 보는 재미도 있지만,  저는 사성암에서 바라보는 풍경이야말로 우리나라 어디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을거라 확신합니다.  완만하게 굽이쳐 흐르는 섬진강이 구례읍을 지나며 풍요로운 옥토를 만들고, 지리산 노고단을 위시한 산봉우리들이 부채처럼 감싸고 있는 풍경은 가히 최고의 뷰포인트라고 할수 있습니다.

사성암에서 바라본 지리산 노고단 및 구례읍 전경
사성암에서 바라본 지리산 노고단 및 구례읍 전경

 

사시사철 어느때 와도 너무 아름다운 경치를 선사하는 최고의 전망대인 구례 사성암이었습니다.  절벽과 바위사이에 지어진 전각들이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아름다운 풍경이 되고, 섬진강과 지리산을 아우르며 구례읍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인 구례 사성암에서 좋은 시간을 보내는 건 어떨까 해서 이렇게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너무 길어지는것 같아 라플라타카페은 제2탄에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