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의 상관관계
※ 채권에 투자하는 사람은 금리가 어떻게 변동돼야 이득을 볼까요?
- 금리가 하락해야 돈을 법니다. 금리가 하락해야 채권가격이 올라가기때문입니다.
- 내가 산 채권의 가격이 상승해야 더 비싸게 팔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이걸 굉장히 헷갈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채권금리와 환율의 상관관계
※ 일본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일본의 환율은 어떻게 될까요?
- 환율은 떨어집니다.(환율하락) - 그렇지 않은 경우도 가끔 있지만, 이론상으로는 떨어지는 게 맞습니다.
- 일본 엔화를 가지고 있으면 좋은가요? 환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엔화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 따라서, 금리상승기에는 엔화투자 적기입니다.
일본이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상한다면, 어떤 투자가 바람직할까요?
일본 엔화투자가 정답입니다. 일본채권(국채) 투자는 해서는 안됩니다.
일본이 금리인상을 시작할까요?
- 일본 중앙은행은 지난해 12월 20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0년물 국채금리 상단을 0.25%에서 0.5%로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금리상승을 어느 정도 용인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발표 후, 엔화가치가 상승하는 등 일부 효과가 나타난 상태입니다.
- IMF(국제통화기금)은 현재 0.5%로 올린 금리 상단을 추가 상향하라고 권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유는, "단기적으로 상당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성이 있다"라고 권고의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 미국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현재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리고 있는 상황인 것은 모두가 아실 겁니다.
- 시장에서는 구로나 일본중앙은행총재가 올해 4월쯤에 금리상단을 1%까지 높일 거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아예 상단을 없앨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YCC정책폐기)
◆ YCC정책 : 일본정부가 발행한 10년물 국채 금리에 상한을 두는 정책입니다. 금리가 상한에 접근하면, 중앙은행이 국채를 매입해 금리를 떨어트려 상단을 넘지 못하게 하는 정책입니다. 전 세계에 유례가 없는 정책입니다.
예상대로 정책금리를 올린다고 판단된다면, 빨리 일본엔화를 매수해야 합니다.
아니야, "그래도 올리진 않을 거야"라고 생각하신다면, 여기까지만 읽으셔도 됩니다.
과거 엔화추이를 분석해 보자
- 10년 그래프입니다. 2015년경에 최저점 885원을 찍었네요.
- 현재는 950원 정도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알겠지만, 거의 저점부근에서 횡보하고 있습니다.
- 어떻게 생각하세요? 1,000원을 한번 넘을까요? 판단은 투자자의 몫입니다.
저의 견해(순수한 저의 의견입니다.)
- 현재시점에서 5% 상승하면, 약 1,000원입니다.
- 올해 4월경에 도달할걸로 저는 판단합니다.(금리을 올린다는 가정입니다.)
- 만약,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이 이하로 환율이 내려가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 만약, 예상이 빗나가면, 일본여행 한번 갔다온다 생각할겁니다.
엔화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① 엔화 환전
- 환전우대수수료를 확인후, 저렴한 은행이나 증권에서 직접환전한다. (현재 100%우대를 주는 증권사들이 있습니다. 나무, 키움 등)
- 환차익은 비과세입니다.
② ETF 투자
- TIGER 일본엔선물 ETF
- 환전수수료는 없지만, 펀드운영수수료(0.25%/년)가 있습니다.
- 롤오버 비용 발생(선물이기때문입니다.)
오늘도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주식채권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생활건강(051900) 주가분석 및 투자포인트(230203) (0) | 2023.02.02 |
---|---|
기아(000270) 주가분석 및 투자포인트(230201) (0) | 2023.02.02 |
개미투자자가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1) | 2022.10.18 |
매도리포트를 내지 않는 증권사의 속내가 궁금하다? (0) | 2022.10.16 |
네이버 주가 왜 이럴까요? 이유를 알면 더 화가 납니다. (0) | 2022.10.12 |
댓글